1. 요즘 창업 생태계를 보면 크게 두가지 부류로 나뉘는 듯 하다. 하나는 일반 소상공인이나 자영업, 1인기업 등이고, 또 하나는 스타트업이다.
2. 창업이란 돈 버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고, 창업을 하는 이유는 돈과 시간으로부터의 자유다. 다시 말하면 돈 부자, 시간 부자가 되고 싶은 것이다. 여러번 강조하지만, 예전의 부자는 돈이 많은 사람이었다면, 지금의 부자는 돈 버는 시스템을 가진 사람이다.
3. 그런데 지금 창업하는 분들 중, 특히 스타트업 분야는 부자에 대한 개념이 여전히 예전의 개념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많다. 돈 버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가지겠다는 사람보다는 돈 버는 시스템을 만들어서 팔겠다는 사람이 더 많으니까.
4. 다시 말하면, 회사를 잘 만들어서 엑싯(Exit)을 하는 것이 목표인 분들이 많다. 엑싯을 잘 하면 큰 돈을 벌 수 있으니까. 근데, 진정한 부자가 되려면, 그 돈으로 결국은 돈 버는 시스템을 다시 사야 한다. 돈 버는 시스템을 소유한 사람이 부자니까.
5. 물론, 팔고 사고를 하면서 마진을 잘 남기면 자산을 계속 불릴 수도 있겠지만, 그건 전문 투자자의 경우일테고, 초기 창업자가 그런 마인드로 돈을 벌겠다는 것은 좀 위험하다는 생각이다. 그리고, 전문 투자자 단계까지 생각을 하는 스타트업 창업자도 많지는 않다. 그러다보니, 스타트업 생태계에서 창업에 대한 생각이 왜곡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6. 진정한 부자가 되려고 창업을 하는 건데, 현실은 또 다른 형태의 취업을 하는 상황이 되어버린다. 투자를 받는 것이 목표인 스타트업은 기본적으로 창업의 목표가 엑싯이 된다. 투자자 대부분의 목표는 그 회사를 팔아서 투자금을 회수하는 것이므로. (특히 기관 투자자의 경우)
7. 이러한 상황에서 스타트업 창업자는 사실상 기부취업 상태라고 봐야 한다. 자신의 시간을 기부하고 취업하는 경우다. 일종의 기타 취업 상태다. (정규직, 비정규직, 그 다음 단계인 제3의 취업상태다) 이 기타 취업 시장이 요즘 엄청나게 커지고 있다.
8. 화물업계에서는 예전부터 있어왔던 취업형태다. 지입 차량이라는 개념이 있다. 트럭을 한대 사서 화물회사에 사실상 취업을 하는 거다. 프랜차이즈 편의점 사장도 대부분 이런 취업 상태다. 보증금과 투자금을 내고 편의점 사장으로 취업하는 거다. 대학 교수나 강사자리에 들어가기 위해 몇천만원을 기부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는데 그것도 비슷한 상태다.
9. 이런 기타 취업 상태의 문제점은 사실상 투자를 하는건데, 시스템을 소유하는게 아니라 시스템에 취업하는 것이라는게 문제다. 투자에 대한 리스크는 그대로 지고, 시스템을 소유하지도 못하는 거다.
10. 요즘 자금 시장이 좋지않아 투자 받기가 어렵다는 얘기가 나온다. 이제 스타트업들도 거품이 빠지고 있다. 어쩌면 스타트업 창업자들이 창업의 본질을 제대로 알고, 제대로된 창업을 할 수 있는 기회일 수도 있다.
11. 물론, 경우에 따라 사업의 확산을 위하여 대규모의 자금을 투자 받을 수도 있다. 하지만, 투자가 목적이고, 엑싯이 목적인 창업은 창업자 개인에게는 바람직하지 않은 그림이다.
12. 창업의 본질을 제대로 알고, 제대로된 비즈니스를 만들어 갈 수 있으면 좋겠다.
출처: (written by 작마클 이상훈)
자생 능력을 길러야 한다.
법인 1년차, 투자금 없이도 살아남을 수 있는 지속가능한 비즈니스를 구축해야 한다.
올해의 최우선 목표를 생존으로 삼아야 한다.
'사업 마인드셋'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슬랙 vs 노션 vs 팀즈: 스타트업이 주로 쓰는 최적의 협업 툴은? (0) | 2025.03.14 |
---|---|
2025년 데이터 바우처 사업 접수기간 (~3월 14일 18:00 까지) (0) | 2025.03.13 |
스타트업 대표라면 꼭 알아야 할 외주 계약 체크리스트 (0) | 2025.03.10 |
1억 원 규모 정부지원 사업 수혜시, 현금 2,500만 원이 필요한 이유 (0) | 2025.03.10 |
스타트업, 기술개발이 먼저일까? 세일즈가 먼저일까? (0) | 2025.03.10 |